요하네스 브람스 클라리넷 오중주 B minor Op. 115 / Johannes Brahms Clarinet Quintet in B minor, Op. 115

요하네스 브람스

브람스는 19세기 실내악에 있어서 절대음악의 전통성과 순수성을 고수한 작곡가이며, 브람스가 작곡한 기악, 성악 쟝르 중 하나만을 남기라면 그것은 실내악이 될 것이다.
그의 실내악곡들은 한 곡 한 곡 모두 순수 기악 음악의 절대성을 성취하고 있다.
바이올린 소나타, 첼로 소나타, 피아노 삼중주, 호른 삼중주, 피아노 사중주, 현악 사중주, 피아노 오중주, 현악 육중주 그리고 클라니넷 오중주 모두 뛰어난 주옥같은 명곡들이다.
그 중에서 브람스의 클라니넷 오중주(퀸텟)는 지금까지 작곡된 서양 실내음악에 있어서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이다.
많은 사람들이 주장하듯이 브람스의 클라리넷 오중주가 경외심을 불러 일으키는 가장 심오한 실내악 작업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아주 탁월한 연주자들은 작곡가들에게 직접적인 작곡의 영감을 주는데, 클라리넷으로 한정하자면 모차르트에게 있어서 안톤 슈타틀러 Anton Stadler (1752-1812), 베버에게 있어서 하인리히 바에르만 Heinrich Baermann (1784-1847), 그리고 브람스에 있어서 리하르트 뮐펠트 Richard Mühlfeld (1856-1907)이다.

리하르트 뮐펠트


당대의 뛰어난 클라리넷 연주자들과 위대한 작곡가들의 음악적 교감과 협업은 가장 뛰어난 클라리넷 오중주와 실내악 그리고 협주곡을 남겼다.
1890년 브람스가 57세 때 현악오중주 2번을 끝으로 브람스는 자신의 창작에 대한 열정을 소진하고 작곡을 그만 두게 되었는데, 1891년 마이닝겐 궁전에서 브람스는 뮐펠트의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과 베버의 클라리넷 협주곡을 듣고 탄복을 하였다고 하며, 그의 클라리넷 음색에 정신을 잃을 뻔 했다고 한다.
뮐펠트와의 만남은 음악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자극하였으며, 클라리넷 곡을 위한 창작열을 불태웠다. 브람스는 1891년 클라리넷 삼중주, 클라리넷 오중주를 이어서 작곡했으며, 3년 후 2곡의 클라리넷 소나타를 완성했다.
그리고 덧붙혀야 할 것은 뛰어난 연주자의 등장 뿐만 아니라 악기의 개량 또한 작곡가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관악기의 경우 바로크, 고전파 시대 이후 낭만파 시대를 지나면서 매우 많이 개량이 되었는데, 클라리넷의 경우도 연주 음역대의 확대 뿐만 아니라 소리의 강약을 더욱 쉽게 낼 수 있게 개량이 되었으며 음색 또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곡은 듣는 사람들에게 놀라운 여정을 펼쳐준다. 브람스 말년에 삶과 음악을 관조(觀照)하는 그의 원숙한 세계를 느낄 수 있다.
말년의 인생을 통한 아름다움, 깊은 성찰, 그리움, 우울한 여정, 체관의 감정을 클라리넷을 통해 토로한다.
현악기들의 음색과 클라리넷의 음색은 절묘하며 감정은 음악적으로 깊게 표현되며, 브람스 말년의 원숙한 음악적 기법은 너무나도 탁월하다.
늦가을에 가장 잘 어울리는 곡이지만, 오늘 같이 비오는 늦 봄에도 잘 어울리는 곡이다.


제1악장 - 알레그로 (빠르게) Allegro in B minor
제1악장이 B 단조인지, D 장조인지 명확하지는 않다. 이 곡에서 놀라운 점은 단조 모드에서 장조 모드로의 지속적인 슬라이딩이다.
모차르트의 클라리넷오중주처럼 제1악장도 현의 도입부로 시작되며 소나타 형식을 취한다.
바이올린의 제1주제를 클라리넷이 반복하며 시작되며, 제1주제는 전악장에 통일성을 부여하며 4악장에서 전곡을 마무리한다.

제1악장



제2악장 - 아다지오(매우 느리게) Adagio in B major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2악장과 함께 가장 사랑하는 악장이다.
브람스가 이 곡을 작곡하기 전 헝가리 여행을 했던 경험인지, 명맥히 집시풍이다.
크게 3부작으로 나눌 수 있다.
현악기의 약음을 배경으로 클라리넷의 선율은 마치 초기 불교 경전 '숫파니파타'의 한구절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흙탕물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이라는 구절을 떠오르게 한다.
내면적인 깊은 감정, 우울감, 회상 그러나 때로는 거칠면서 한없이 자유롭게 클라리넷은 노래한다.

제2악장



제3악장 - 안단티노, 프레스토 논 아사이 마 콘 센티멘토 Andantino, Presto no asai, ma con snetimento
가장 짧은 악장이며, 안단티노 (조금 느리게)는 미뉴에트와 렌틀러풍(8분의 3박자나 4분의 3박자의 비교적 느린 템포의 춤. 18-19세기 독일남부, 오스트리아에서 성행한 춤곡 형태)이 섞여있으며, 프레스토 논 아사이 마 콘 센티멘토 (감정을 갖고서 매우 빠르게 보다는 느리게)는 스케르초이다.
클라리넷이 부드러우면서 느린 주제를 연주하고 이어 바이올린이 스케르초풍의 선율을 연주한다.
그후 악상은 고조되며 이윽고 조용하게 끝맺는다.

제3악장



제4악장 - 콘 모토(활기있게) , 운 포코 메노모소(다소 빠르지 않게) Con moto, Un poco menomosso
제4악장은 주제와 5개의 변주로 이루어지며, 민요적인 주제를 변주해 가다가 아주 자연스럽게 제1악장의 제1주제로 돌아와서 곡을 마무리시킨다.
변주는 대위법적이며, 제3변주와 제5변주는 명확히 주제를 갖고 있다.
코다(종결부)에서는 급격하고도 격하게 끝날 것 처럼 보이지만 반대로 침잠(沈潛) 속에 종결짓는다.

제4악장



이 작품이 워낙 걸작이라 녹음도 무척 많은데, 칼 라이스터와 아마데우스 현악사중주단, 다비드 오펜하임과 부다페스트 현악 사중주단, 시아 킹과 가브리엘리 현악사중주단의 음반을 최고로 꼽을 수 있다.

https://youtu.be/DOzEgxUJMG4

Johannes Brahms Quintet for Clarinet & String Q. in B minor Op.115, Karl Leister/Amadeus Quartet

칼 라이스터와 아마데우스 현악사중주단

칼 라이스터와 아마데우스 현악사중주단
다비드 오펜하임과 부다페스트 현악 사중주단
시아 킹과 가브리엘리 현악사중주단

프란츠 슈베르트 현악사중주 제14번 D단조 .810 '죽음과 소녀' Franz Schubert, String Quartet No. 14 in D Minor, D. 810 ‘Der Tod und das Mädchen’

죽음이라는 주제도 슈베르트의 선율에서는 아름답다라는 생각이 든다.  

중세유럽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페스트의 악몽 때문인지 죽음과 희생자들 사이의 대화는 14 세기 이후 유럽 전역에서 대중 문화의 공통된 주제였다 
발라드의 형태로서 젊은 여성의 목숨을 앗아가는 죽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죽음 자체는 모래 시계와 화살을 들고있는 해골로 다소 조잡하게 묘사된다. 여성의 죽음은 즉각적이고 불가피하며, 그녀는 종교적 믿음만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발라드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에 있어서도, '죽음과 소녀'라는 제목의 예술 작품은 많이 출현했는데,
회화에서는  16세기 초 한스 발둥 그린 (Hans baldung Grien), 19세기 후반 에드바르 뭉크 (Edvard Munch), 그리고 20세기 초 에곤 쉴레 (Egon Schiele)의 작품이 있으며, 
시로는 마티아스 클라우디우스 (Matthias Claudius) 그리고 음악으로는 슈베르트의 가곡과 그 가곡을 바탕으로 한 제 14번 현악사중주가 있다.
그 중에서 아마도 슈베르의 가곡과 현악사중주가 가장 유명할 것이다.

 

죽음과 소녀

 



슈베르트는 그의 나이 20세에 마티아스 클라우디우스의 동명의 시 '죽음과 소녀'로 가곡을 만들었다. 
이 시는 소녀와 소녀를 저승으로 데려가기 위해 찾아온 죽음과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독일어 가사와 번역은 아래와 같다.

 

프란츠 슈베르트

 


Das Mädchen :

»Vorüber! ach, vorüber!
Geh, wilder Knochenmann!
Ich bin noch jung, geh, Lieber!
Und rühre mich nicht an.«

Der Tod :

»Gib deine Hand, du schön und zart Gebild,
Bin Freund und komme nicht zu strafen..
Sei gutes Muts! Ich bin nicht wild,
Sollst sanft in meinen Armen schlafen.«

소녀
  지나가세요! 아, 지나가세요!
  물러가세요, 사나운 죽음이여!
  저는 아직 어립니다, 제발 물러가세요!
  그리고 제게 손대지 마세요.

죽음
  네 손을 다오, 그대 아름답고 섬세한 소녀여!
  난 그대의 친구이니, 벌하러 온 것이 아니라오.
  용기를 내시오! 나는 사납지 아니하니,
  나의 팔 안에서 편히 잠드시오!

 

가곡 죽음과 소녀의 도입부 

 

youtu.be/CfN429vz4Ks

슈베르트 가곡 죽음과 소녀 - 제럴드 무어(피아노) 크리스타 루드비히(메조 소프라노)

 

슈베르트는 1824년에 현악4중주 <죽음과 소녀>(D.810)를 작곡하였다. 이 곡은 1817년에 그의 나이 21세에 작곡한 가곡 <죽음과 소녀>(D.531)를 소재로 하고 있다. 
이 현악 4중주 '죽음과 소녀'는 슈베르트의 현악4중주 16곡 중(구 전집에는 15곡인데 후에 1곡이 추가됨) 13번 '로자문데'와 더불어 가장 유명하며 음악적으로 그의 현악4중주 작품 중 최고의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 현악4중주 <죽음과 소녀>를 같은 제목의 가곡과 연결시키는 것은 이 곡의 2악장에서 가곡 선율이 주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2악장의 주제에서 뿐 아니라 다른 악장들에서도 가곡 <죽음과 소녀>와 음악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죽음과 소녀' 현악4중주를 작곡했을 떄 슈베르트는 매독(슈베르트 연구자들은 1820년께 그가 매독에 걸린 것으로 보고 있다.)과 그당시 매독치료제로 쓰였던 수은에 의한 수은중독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낼때였고, 그 고통 속에서 그는 그의 얼마남지 않은 죽음을 본 것 같다.
수많은 아름다운 작품들을 남긴 슈베르트는 31세라는 짧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그의 가장 절친한 친구였던 시인이자 화가, 배우이기도 했던 그리고 슈베르트의 가곡 '음악에 (An die musik)'의 가사를 썼던 프란츠 폰 쇼버(Franz von Schober, 1796~1882)손에 이끌려 밤의 향락에 빠져들었던 것이 매독의 원인이라고 본다.
그가 앓던 매독은 그의 육체, 정신 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피부 발진서 부터 시작한 매독 증세는 말기에는 매독균이 뇌까지 침투하여 조울증의 상태를 만들었으며, 조증일 때 와 울중일 때의 작곡한 작품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슈베르트가 가장 존경했던 작곡가 베토벤이 음악을 통한 인간 운명에 대한 저항을 통한 승리를 지향했다면, 슈베르트는 반대로 운명(죽음)에 대한 순응을 하였던 것 같다.
그것은 현악 4중주 '죽음과 소녀'를 쓰고 난 직후에 친구 레오폴트 쿠펠바이저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알 수 있다.
"이제는 사랑과 우정으로도 위로받지 못하게 된 남자를 상상해 보시오. 매일밤 침대에 누울 때마다 다시는 아침에 깨지 않기를 기도하오. 
그러나 아침은 어김없이 오고 슬픔은 밤새 나와 같이 잠잤다가 다시 깨어 내 옆에 그대로 있소."


현악4중주 <죽음과 소녀>(D.810)는  1826년 2월 1일 빈의 요제프 발트의 집에서 개인적인 초연이 있었지만 실제 일반 청중들에게 공개된것은 1833년 3월 12일로 빈에서 칼 모저 현악사중주단에 의해 초연되었다.


제1 악장 : Allegro , D 단조, 4/4 박자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시고니 위버 주연의 영화 '시고니위버의 진실(Death And The Maiden)'에 삽입되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던 1악장이다.
힘찬 동기가 중심이 되어 매우 치밀하면서 엄숙하게 전개된다.
고전적 소나타 형식이지만, 슈베르트만의 자유로운 창의성이 곳곳에 나타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제2 악장 : Andante con moto, G 단조
제2악장은 그의 가곡 '죽음과 소녀'의 피아노 파트의 도입 선율을 주제로 한 6개의 변주와 코다로 이루어져 있다.
아마도 현악4중주 곡 2악장 중 드보르작의 현악4중주 '아메리카'의 2악장과 함께 가장 유명하며, 매우 감명 깊은 악장이다.
'음악의 모든 범위에서 가장 영감적'이라고 슈만이 언급했을 정도로 매우 뛰어나며, 슬픈 정서를 자아낸다.

 

1st 바이올린 악보 : 그의 가곡 죽음과 소녀의 피아노 파트에서 따온 선율

 


제3 악장 : Scherzo Allegro molto, D 단조
고전적인 미뉴에트로 설계된 스케르초 악장은, 음악학자 Cobbett에 의하면 세 번째 악장을 "악마 피들러의 춤"이라고 설명한다.
이 빠르게 진행되는 스케르초에는 악마적인 무언가가 내재되어 있으며, 다른 악장에서와  마찬가지로 포르티시모(매우 강하게)에서 피아니시모로(매우 약하게)의 극적인 도약이 있다 .


제4 악장 : Presto , D 단조
피날레는 D 단조의 rondo- sonata 형태의 타란텔라다. 
타란텔라는 이탈리아(시실리아)에서 유래한 무곡(춤곡)으로, 타란툴라 거미에게 물린 후 고통으로 춤을 추는 것에서 유래했다. 
Cobbett은  이 악장을 "죽음의 춤 "이라고 부른다.
코다(악곡 끝에 결미로서 덧붙인 부분)는 D 장조로 시작하여 승리의 결말을 제안하지만 갑자기 D 단조로 돌아가 비극적인 결론을 내린다.


추천명반은, 알반베르크 현악4중주단, 하겐 현악4중주단, 줄리어드 현악4중주단, 아마데우스 현악4중주단의 음반이 일반적으로 추천되며, 멜로스 현악4중주단 연주도 명반이다.
어떤 음반을 선택해도 후회는 없지만, 개인적으로 알반베르크 현악4중주단 연주에 살짝 기울어있다.
비교음반 감상하는 것도 음악 감상에 있어서 큰 즐거움이다.
오늘 아침부터 비가 내리는데, 슈베르트 음악으로 하루를 보내야겠다.

 

youtu.be/NtBqvOM1CuE

알반베르크 현악4중주단

 

 

알반베르크 현악4중주단

 

 

한국인 정서에 가장 잘맞는 서양음악가는 누구일까? 
아마도 드보르작일 것이다.

 

 


보헤미안 특유의 목가적인 아름다움, 슬픔이 베어있는 서정성 그리고 아주 발랄하고 흥겨운 선율들이 섞여있는 보헤미안(체코)의 민속 음악은 우리의 전통음악과 많이 닮아있고, 그 음악의 뿌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인에게는 보헤미안 민속음악은 매우 친근하게 다가온다.
이러한 보헤미안의 민속음악을 뿌리로 두고 있는 드보르작의 작품은 한국인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드보르작은 교향곡,교향시, 협주곡, 실내악곡, 오페라, 성악곡등 다양한 쟝르에서 뛰어난 곡들을 많이 남겼다.
특히 그의 실내악 작품들은 매우 훌륭하다. 그의 실내악 작품들 중 피아노 트리오 일명 '둠키', 현악사중주 '아메리카',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피아노5중주 2번은 예술적으로 뛰어나며 인기있는 대표적인 실내악 작품이다.
슈만과 브람스의 뛰어난 피아노5중주의 작품을 잇는 드보르작의 이 피아노5중주는 보헤미안 선율을 도입하여 서정성의 극대화, 피아노 파트와 현악 파트의 긴밀한 대화 그리고 내용적으로 풍부한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1870 년대 초 드보르작은 A 장조로 피아노 5중주를 썼으나 항상 이 곡에 대해 불만족스러웠던 그는 1887 년 A장조 피아노5중주를 수정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그는 수정대신 즉시 새로운 피아노 5 중주를 작곡하기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다.
결국 이 피아노5중주 (Piano Quintet in A major, Op. 81 현재 No. 2로 불림)는 낭만주의 시대 실내악의 중심적인 걸작이며 완전한 성공을 거두었다. 
1887 년 8 월과 10 월 초 사이에 쓰여진 이 작품은 현재 피아노5중주를 위해 쓰여진 레퍼토리 중 브람스 F 단조 피아노 5 중주  함께 최고의 평가를 받고 있는 곡이다. 
깊은 정서와 따뜻함, 동유럽 민속 풍미 그리고 순수한 멜로디즘이 여기에서 완벽한 균형을 이루었다.

이 곡은 전통적인 4악장으로 되어 있다. 

youtu.be/_qz6y-ME8zs

Antonín Dvořák - Piano Quintet No. 2, Op. 81 with score


1악장: Allegro ma non tanto
첼로는 첫 악장의 시작 부분에서 피아노 아르페지오 위에 유명한 멜로디를 소개한다.
C 샤프 단조의 두 번째 주제 영역은 본질적으로 소나타 형식의 오랜 전통에 속하는 무브먼트의 기초를 제공한다.

2악장: Dumka: Andante con moto
dumka는 대조적인 분위기를 가진 여러 섹션을 포함하는 우크라이나의 발라드이다. 
드보르작은 dumky를 여러 작곡에 통합했으며. 이 5 중주의 툼카 무브먼트는 F 샤프 단조이다.

3악장: Scherzo: Furiant Molto vivace
보헤미안의 민속 무곡인 푸리안트를 기본으로 한 스케르초 악장이다, 트리오 섹션이 펼쳐지면서 드보르작은 멋진 3/4, 2/4 박자 리듬의 구절을 제공힌다.

4악장: Finale: Allegro
론도 피날레는 피아노의 빠른 당김에 반하는 8 분 음표로 시작된다. 후반부는 민중적인 16 분 음표로 활기차게 앞으로 나아간다.

 

youtu.be/Q35ayW9J5t4

Sviatoslav Richter and the Borodin Quartet play Dvorak Quintet No.2 A Major Op.81



드보르작 피아노5중주 2번 (Piano Quintet in A major, Op. 81)의 베스트 명연은 리히테르와 보로딘 4중주단 연주 그리고 쉬프와 파노차 4중주단의 연주를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루빈슈타인과 과르네리 4중주단 연주도 좋다.

 

 

리히테르와 보로딘 4중주단
쉬프와 파노차 4중주단
루빈슈타인과 과르네리 4중주단

 

이 바이올린 소나타(내림마장조 작품번호 18)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1888년에 완성한 바이올린 소나타이다.
이 곡은 그의 유일한 소나타 곡이며, 놀랍게도 20대 초반의 나이에 작곡한 작품이다.
이 바이올린 소나타는 바그너의 영향을 받은 그가 고전주의적 절대 음악에서 벗어나 교향시와 오페라로 나가기 전의 고전적 형태의 소나타 형식을 갖고 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2중주의 악기구성, 3악장제의 소나타형식, 주제 동기를 반복하며 변화를 주는 등의 고전주의적인 면모도 보이지만,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반음계적 진행과 전조, 까다로운 화성과 당김음 리듬은 훗날 슈트라우스가 보여줄 화려한 교향시와 오페라의 세계를 예견이라도 하듯 낭만적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기교적으로는 바이올린 파트, 피아노 파트 모두 어려우며, 두 파트는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어 두 개의 악기 이상의 효과를 표현하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바이올린 뿐만 아니라 피아노에 있어서도 대단한 연주 실력을 갖었다고 한다.)
내용적으로는 청년들이 갖고 있는 극도의 예민한 감수성, 독창성(선율과 화성에 있어서)으로 가득하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곡이 베토벤, 브람스,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타나에 비해서 완성도 측면에서 부족하다고는 하나,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연주자의 능력에 따라서 이 곡은 지극히 청순하며 아름답고 빼어나다.
고전적 형식미를 갖는 낭만주의 최후의 바이올린 소나타의 하나로서 음악적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1악장 -  Allegro, ma non troppo (빠르지만 지나치지 아니하게)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피아노로 시작하면서 이어서 바이올린이 선율을 연주한다. 
피아노는 제1주제에 대한 대위법적인 진행으로 구성된다. 
제2주제는 B flat장조로 제시되며 피아노는 3잇단음의 선율로 진행한다.

 

 

 

 



2악장 -  Improvisation. Andante cantabile(즉흥적으로, 천천히 노래하듯이)
즉흥곡처럼 자유로운 형식으로 진행함. 아름다운 선율미가 인상적이다.  

 

 

 

 



3악장 -  Finale. Andante - Allegro (빠르게)
론도 형식으로 구성된다. 코다부분은 6/8박자로 구성되었으며 스케르초 부분의 동기들도 사용된다.

 

 

 

 

 

 

youtu.be/d73FVIKbl5k

Richard Strauss - Violin Sonata in E-flat Major, Op. 18 (1887-88) [Score-Video]

                                     



이 소나타의 경우 개인적으로 최고의 연주는 정경화와 크리스티안 치메르만(짐머만)의 연주이다.
두 거장의 호흡은 완벽하며, 음색적으로도 따듯하면서 음악적으로도 청순함을 포용하는 원숙미를 갖고 있다.
레코딩 또한 훌륭하다. 또한 같이 포함된 레스피기의 바이올린 소나타의 연주도 매우 뛰어나다.
이 밖에 추천 연주자로는 하이페츠, 바딤 레핀 연주도 뛰어나다.
하이페츠의 연주 속도는 좀 빠르고 (안그런 작품이 있던가?!)
레핀의 연주는 정경화의 연주 보다는 차갑다고 할까 투명하다고 할까 그런 느낌의 연주로 다가온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