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정서에 가장 잘맞는 서양음악가는 누구일까?
아마도 드보르작일 것이다.

보헤미안 특유의 목가적인 아름다움, 슬픔이 베어있는 서정성 그리고 아주 발랄하고 흥겨운 선율들이 섞여있는 보헤미안(체코)의 민속 음악은 우리의 전통음악과 많이 닮아있고, 그 음악의 뿌리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인에게는 보헤미안 민속음악은 매우 친근하게 다가온다.
이러한 보헤미안의 민속음악을 뿌리로 두고 있는 드보르작의 작품은 한국인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드보르작은 교향곡,교향시, 협주곡, 실내악곡, 오페라, 성악곡등 다양한 쟝르에서 뛰어난 곡들을 많이 남겼다.
특히 그의 실내악 작품들은 매우 훌륭하다. 그의 실내악 작품들 중 피아노 트리오 일명 '둠키', 현악사중주 '아메리카', 그리고 오늘 소개하는 피아노5중주 2번은 예술적으로 뛰어나며 인기있는 대표적인 실내악 작품이다.
슈만과 브람스의 뛰어난 피아노5중주의 작품을 잇는 드보르작의 이 피아노5중주는 보헤미안 선율을 도입하여 서정성의 극대화, 피아노 파트와 현악 파트의 긴밀한 대화 그리고 내용적으로 풍부한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1870 년대 초 드보르작은 A 장조로 피아노 5중주를 썼으나 항상 이 곡에 대해 불만족스러웠던 그는 1887 년 A장조 피아노5중주를 수정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그는 수정대신 즉시 새로운 피아노 5 중주를 작곡하기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다.
결국 이 피아노5중주 (Piano Quintet in A major, Op. 81 현재 No. 2로 불림)는 낭만주의 시대 실내악의 중심적인 걸작이며 완전한 성공을 거두었다.
1887 년 8 월과 10 월 초 사이에 쓰여진 이 작품은 현재 피아노5중주를 위해 쓰여진 레퍼토리 중 브람스 F 단조 피아노 5 중주 함께 최고의 평가를 받고 있는 곡이다.
깊은 정서와 따뜻함, 동유럽 민속 풍미 그리고 순수한 멜로디즘이 여기에서 완벽한 균형을 이루었다.
이 곡은 전통적인 4악장으로 되어 있다.
1악장: Allegro ma non tanto
첼로는 첫 악장의 시작 부분에서 피아노 아르페지오 위에 유명한 멜로디를 소개한다.
C 샤프 단조의 두 번째 주제 영역은 본질적으로 소나타 형식의 오랜 전통에 속하는 무브먼트의 기초를 제공한다.
2악장: Dumka: Andante con moto
dumka는 대조적인 분위기를 가진 여러 섹션을 포함하는 우크라이나의 발라드이다.
드보르작은 dumky를 여러 작곡에 통합했으며. 이 5 중주의 툼카 무브먼트는 F 샤프 단조이다.
3악장: Scherzo: Furiant Molto vivace
보헤미안의 민속 무곡인 푸리안트를 기본으로 한 스케르초 악장이다, 트리오 섹션이 펼쳐지면서 드보르작은 멋진 3/4, 2/4 박자 리듬의 구절을 제공힌다.
4악장: Finale: Allegro
론도 피날레는 피아노의 빠른 당김에 반하는 8 분 음표로 시작된다. 후반부는 민중적인 16 분 음표로 활기차게 앞으로 나아간다.
드보르작 피아노5중주 2번 (Piano Quintet in A major, Op. 81)의 베스트 명연은 리히테르와 보로딘 4중주단 연주 그리고 쉬프와 파노차 4중주단의 연주를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루빈슈타인과 과르네리 4중주단 연주도 좋다.


